부의 미래 누가 주도할 것인가

yrohh 2022. 5. 13. 17:05

  요즘 신문이나, 주변에서 블록체인에 대해서 많이 접하는 것치곤 블록체인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것 같아,  공부 겸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사실 블록체인 기술로부터 파생(?)된 각종 코인들과 NFT가 현재에도 활발히 거래되고 있고, 또 이 책을 다 읽고 났음에도 여전히 블록체인 기술이 앞으로의 자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감이 오지 않는다. 아마도 여전히 블록체인 혹은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방증일 수도 있겠다. 그렇지 않다면 4차 산업혁명이나 메타버스와 같이 아직은 조금 두루뭉술한 개념일 수도. 하지만 전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 책에서 키워드를 몇 가지 꼽는다면, 탈중앙, 거래 자동화, 데이터 배당, 디지털 토큰화, 데이터 거래소, ICO(암호화폐 발행), STO(증권토큰 발행)를 꼽고 싶다. 이유는 블록체인의 메인 개념이기도 하고, 참신하기도 하고, 또 꼭 기억하고 싶은 단어들이기 때문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혹했던 건, 데이터 배당데이터 거래소였다. 사실 데이터 분야에 관심이 많아, 이전에도 사람들의 데이터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우려도 했었는데, 의도치 않게 이 책에서 그러한 부분에 대한 다른 사람의 의견을 접할 수 있어 굉장히 반가웠다. 데이터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뿐 아니라, 제공에 따른 배당도 받을 수 있을 거란 저자의 의견이 굉장히 신선하면서도 흥미로웠고, 실제로 그렇게 됐으면 좋겠는 바람도 들었다.

아마도 다음은 디지털 토큰화. 부동산을 디지털 토큰화하여 잘게 쪼개, 여러 사람이 소유하며 부동산의 임대 수익과 시세 차익을 나눠 갖는다는 말이 너무도 신선했다. 법에 따라, 그리고 시장의 상황에 따라 지금의 생각과 많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꼭 실현되었으면 하는 기술이다.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기에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점도 있겠지만, 부동산 매매가 활발해짐에 따라오는 이점이 더 많지 않을까 싶다.

 

ICO란, IInitial Coin Offering의 약자로서, 새로운 암호화폐를 만들기 위해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초기 개발 자금을 모집하고 그 대가로 코인을 나눠주는 행위를 말한다. 

 

STO란, Security Token Offering의 약자로서, 증권형토큰제공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ICO를 통해 발행되는 토큰은 유틸리티 토큰(Utility Token)이라 불린다. 유틸리티 토큰 사용자는 토큰 발행사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은 가지지만 토큰 발행사에게 이윤에 대한 지분은 요구할 수 없다. 반면, STO로 구매한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은 토큰 발행사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자는 보유한 증권형 토큰의 개수에 따라 토큰 발행사가 창출한 이윤의 일부를 배당금으로 받거나 발행사의 경영권의 일부를 가질 수 있다.

출처 : http://wiki.hash.kr/index.php/ICO

 

주식과 가까운 건 STO, 게임 화폐와 가까운 건 ICO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블록체인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을 알게 되었으니, 몇 권 더 읽어보면서 보다 또렷하게 이해해보는 게 좋겠다.

끗!

 

 

728x90
반응형